CentOS

CentOS- 런 레벨과 init 명령어

부엉이세마리 2018. 7. 23. 19:10

런 레벨과 init 명령어


리눅스에서 런레벨이란 문자 그대로 리눅스가 구동되는(RUN)단계(LEVEL)를 말한다.


시스템 관리를 효율적이게 하기 위해서 리눅스의 구동을 단계별로 구분해놓은 것을 말한다.


0~6 총 7 단계(level)로 이루어져 있다.



Level 0  

시스템 종료이다. 런 레벨을 0으로 변경하면 시스템이 종료된다.


Level 1  

Single User Mode(단일 사용자 모드). 시스템 복구 모드라고도 한다.

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준다고 하는데 root 권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.


Level 2  

Multi Mode(다중 사용자 모드) NFS(Network File System)을 지원하지 않는다.

쉽게말해 네트워크 지원이 안된다.  CLI 모드


Level 3  

일반적인 Multi-User-Mode(다중 사용자 모드)  NFS(Network File System)을 지원

CLI 모드


Level 4 

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레벨이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레벨


Level 5  

Multi-User-Mode(다중 사용자 모드) NFS(Network File System)지원

GUI 모드


Level 6  

시스템 재시작



이런 레벨들의 설정 파일은 다른 리눅스 계열과는  달리  /etc/init/rc-sysint.conf 이다.


명령어

#sudo init [run level]


명령어를 통해 각 run level로 접근 할 수 있다.